1. 물리계층
1) 전기적 신호 변환
2) 데이터 전송단위 : bit
3) RS-232, X.21
4) 주요 장비
- 허브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
- 리피터 :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거리를 늘림
2. 데이터링크계층
1) 흐름제어, 동기화, 오류와 순서 제어로 노드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보장
2) 데이터 전송단위 : 프레임
3) MAC, HDLC, LAPB, LLC, LAPD, PPP, 이더넷
4) 주요 장비
- 스위치 : 맥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
- 브리지 :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역할,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듦
3. 네트워크계층
1) 데이터를 패킷 안으로 캡슐화, 논리적 주소 지정
2) 데이터 전송단위 : 패킷
3) IP, IPv6, IP NAT, IPsec, ICMP, ARP, RARP
4) 주요 장비
- 라우터 :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호스트들 간의 경로를 결정하고, 데이터 전송
4. 전송계층
1) 종단 대 종단 간 제어와 에러 관리, 흐름 제어
2) 데이터 전송단위 : 세그먼트 / Datagram
3) TCP, UDP, SCTP, RTP
4) 주요 장비
- 게이트웨이 :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 출입문
5. 세션계층
1) 컴퓨터 간의 세션 설정, 적절한 통신을 유지, 대화 제어
2) 소켓, SSN, SSH, TLS, RPC
6. 표현계층
1) 데이터를 계층에 맞게 변환, 암호화 및 압축
2) JPG, MPEG, APP, PAP
7. 응용계층
1) 응용프로세스간의 정보교환, 전자메일, 파일등의 서비스를 제공
2) DNS, NFS, BOOTP, SMTP, FTP, HTTP, SNMP, Telnet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 결합도와 응집도 (0) | 2023.04.21 |
---|---|
정보처리기사 : 디자인패턴 (0) | 2023.04.21 |
정보처리기사 : 트리 (0) | 2023.04.08 |
정보처리기사 : 자료구조 (0) | 2023.04.08 |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베이스 보안 (0) | 2023.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