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4 JAVA - 조건문(if문, switch문) 1. if문 1) if문 if문은 괄호 안의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중괄호 안의 실행문을 실행할지 말지가 결정된다. 조건식이 true면 블록을 실행하고 false면 실행하지 않는다. if문은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1 2 3 4 5 6 7 int price = 30000; int myMoney = 10000; if(myMoney = 90) { System.out.println("등급 : A"); }else { System.out.println("등급 : B"); } cs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if의 조건이 false이기 때문에 "등급 : B"이 출력되었다. 3)if-else if-else문 if-else if-else문은 if-else문에 else if로 조건을 더 추가하는 것이다. else i.. 2022. 6. 8. JAVA - 삼항연산자 삼항 연산자란? 세 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는 연산자, 맨 처음 피연산자의 조건식에 따라 뒤의 피연산자 중 하나가 선택되기 때문에 조건 연산식이라고도 부름 1. 삼항 연산자의 실행 1 2 3 4 5 jajString myMental = ""; String state = (myMental.isEmpty()) ? "비었어요." : "들어 있어요."; System.out.println(state);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위의 코드는 if문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한줄로 간단하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경우엔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2. 이중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 안에 삼항 연산자를 추가로 넣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1 2 3 4 5 int score .. 2022. 6. 8. 자바 - 연산자의 종류 : 이항연산자 이항연산자란 : 피연산자가 2개인 연산자를 의미한다. 1. 문자열 연결 연산자(+) 문자열과 문자열을 서로 결합해주는 연산자이다. 다만 숫자도 문자열로 형변환이 되기 때문에 숫자 연산 후에 문자열과 연결하려고 할 때는 순서에 주의한다. 2. 산술연산자 (+,-,*,/,%) 피연산자들의 타입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타입을 일치시킨 후 연산을 수행한다. 1 2 3 4 5 6 7 8 9 int numFirst = 10; int numSecond = 3; System.out.println("더하기: "+(numFirst + numSecond)); System.out.println("빼기: "+(numFirst - numSecond)); System.out.println("곱하기: "+(numFirst * numS.. 2022. 6. 7. JAVA - 단항 연산자 단항연산자란? 피연산자가 1개인 연산자를 의미한다. 1. 부호 연산자( + , - ) 양수 및 음수를 표시하는 +, - 를 말한다. boolean타입과 char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 타입에 사용할 수 있다. +, - 를 부호연산자로 사용할 때는 하나의 피연산자만 필요하다. 2. 증감연산자 (++ , -- ) ++숫자 : 1증가 후 다른 연산 수행 --숫자 : 1감소 후 다른 연산 수행 숫자++ : 다른 연산 수행 후에 1증가 숫자-- : 다른 연산 수행 후에 1감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Ten = 10; ++numTen ; System.out.println("++numTen : .. 2022. 6. 3. 리눅스에서 Tomcat 설치하여 서버 켜고 끄는 방법 검색 엔진에 '톰캣' 또는 'Tomcat'을 검색하여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왼쪽에 있는 다운로드 메뉴 중에서 원하는 버전을 골라 클릭한다. 나는 Tomcat 9.0을 설치하였는데 jdk 1.8버전 이상에서 작동하니 주의할 것~ Binary Distributions의 Core에서 내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 우리는 리눅스이므로 tar.gz (pgp, sha512)을 선택하여 다운받았다. 홈에 tools라는 폴더를 생성한 뒤에 위에서 다운 받은 apache-tomcat-9.0.63.tar.gz를 넣어 압축을 풀어준다. 그리고 터미널을 켜서 현재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위의 사진처럼 netstat -tlnp를 입력한다 그러면 위의 사진처럼 현재 사용 중인 PORT가 뜨는데 현재 사용할 PO.. 2022. 6. 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3 다음